본문 바로가기

Health

신장 투석은 몇일에 한번씩 해야할까?

반응형

투석은 보통 주 3회 정기적으로 시행하며, **입원 없이 외래(통원)**로 받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 다만 개인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
✅ 일반적인 투석 빈도

1. 혈액투석(HD, Hemodialysis)

  • 주 3회, 하루 4시간 내외가 일반적입니다.
  • 예: 월/수/금 또는 화/목/토 일정으로 진행.
  • 병원 외래 투석실에 와서 시행하며, 대부분 입원은 하지 않습니다.
    • 단, 급성기나 상태 악화 시에는 입원 후 시행할 수 있습니다.

2. 복막투석(PD, Peritoneal Dialysis)

  • 매일 시행해야 하며, 보통 하루에 4~5회 직접 가정에서 시행하거나,
  • **자동복막투석기(CAPD/APD)**를 이용해 밤에 수면 중 기계로 자동 시행할 수 있습니다.
  • 병원에 자주 가지 않아도 되고, 자가관리가 가능한 형태입니다.


✅ 입원이 필요한 경우

입원해서 투석하는 경우는 드뭅니다. 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엔 입원 투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:

  • 신부전 초기 또는 **급성신부전(AKI)**로 상태가 불안정할 때
  • **혈관 통로(동정맥루 등)**가 처음 만들어져 사용이 어려울 때
  • 심한 전해질 이상이나 부종, 호흡곤란 등 응급 상황 시
  • 감염, 출혈, 혈압 불안정 등 합병증이 발생했을 때

✅ 정리하면

구분횟수시간입원 여부
혈액투석 주 3회 회당 4시간 보통 외래, 상태 안 좋으면 입원
복막투석 매일 하루 4~5회 또는 밤에 자동 자가 투석 (가정에서 시행)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