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투석은 보통 주 3회 정기적으로 시행하며, **입원 없이 외래(통원)**로 받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 다만 개인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✅ 일반적인 투석 빈도
1. 혈액투석(HD, Hemodialysis)
- 주 3회, 하루 4시간 내외가 일반적입니다.
- 예: 월/수/금 또는 화/목/토 일정으로 진행.
- 병원 외래 투석실에 와서 시행하며, 대부분 입원은 하지 않습니다.
- 단, 급성기나 상태 악화 시에는 입원 후 시행할 수 있습니다.
2. 복막투석(PD, Peritoneal Dialysis)
- 매일 시행해야 하며, 보통 하루에 4~5회 직접 가정에서 시행하거나,
- **자동복막투석기(CAPD/APD)**를 이용해 밤에 수면 중 기계로 자동 시행할 수 있습니다.
- 병원에 자주 가지 않아도 되고, 자가관리가 가능한 형태입니다.
✅ 입원이 필요한 경우
입원해서 투석하는 경우는 드뭅니다. 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엔 입원 투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:
- 신부전 초기 또는 **급성신부전(AKI)**로 상태가 불안정할 때
- **혈관 통로(동정맥루 등)**가 처음 만들어져 사용이 어려울 때
- 심한 전해질 이상이나 부종, 호흡곤란 등 응급 상황 시
- 감염, 출혈, 혈압 불안정 등 합병증이 발생했을 때
✅ 정리하면
구분횟수시간입원 여부
혈액투석 | 주 3회 | 회당 4시간 | 보통 외래, 상태 안 좋으면 입원 |
복막투석 | 매일 | 하루 4~5회 또는 밤에 자동 | 자가 투석 (가정에서 시행) |
반응형
'Health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장투석을 하는 이유 (0) | 2025.07.01 |
---|---|
정수리 탈모 진행 속도 늦추는 법 – 효과적인 관리 방법 (0) | 2025.03.17 |
M자 탈모 초기 증상 체크리스트 – 미리 알아보고 예방하자! (0) | 2025.03.16 |
남성형 탈모 vs 여성형 탈모 차이, 정확히 알고 대비하자! (0) | 2025.03.15 |
당뇨병 환자가 식습관을 조절하여 혈당을 관리하는 방법과 식사 권장 사항 (0) | 2023.04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