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QC(Quality Control)와 QA(Quality Assurance)는 모두 품질을 관리하고 보증하기 위한 개념이지만, 목적과 접근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. 아래 표로 간단히 정리해드릴게요:
구분 | QC (품질관리, Quality Control) | QA (품질보증, Quality Assurance) |
목적 | 불량을 발견하고 제거하는 것 |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 |
중점 | 제품의 품질 검사 | 공정과 시스템의 품질 개선 |
접근 방식 | 사후적 – 제품이 나온 후 검사 | 사전적 – 품질이 나오게 만드는 프로세스 관리 |
활동 예시 | 완제품 검사, 불량률 측정, 리워크 | 공정 표준화, 교육, 시스템 감사, 문서화 |
책임 주체 | 현장 검사자, QC팀 | 품질보증팀, 경영층 등 |
주요 도구 | 측정장비, 시험기, 체크시트 등 | 품질 매뉴얼, 표준 운영 절차(SOP), 감사 체크리스트 등 |
예시로 쉽게 이해해보면:
- QC는 "제품을 검사해서 불량이 있으면 걸러내는 것"
- QA는 "처음부터 불량이 생기지 않도록 공정을 설계하고 관리하는 것"
즉, QC는 품질을 확인하는 활동, QA는 품질이 생기도록 만드는 체계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.
반응형
'e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WD, 4WD, AWD 비교 및 차이점 (2) | 2025.06.14 |
---|---|
동학농민혁명기념일, 우리가 기억해야 할 날 (1) | 2025.05.09 |
화이트데이의 의미 (0) | 2023.02.24 |
화이트데이의 유래 (0) | 2023.02.23 |
화이트데이에 선물하면 좋은 10가지 추천 (0) | 2023.02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