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ealth
신장투석을 하는 이유
타락리오
2025. 7. 1. 13:27
반응형
신장 투석(혈액투석 또는 복막투석)은 신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할 때, 즉 신부전(신장기능저하) 상태에서 몸속 노폐물과 과잉 수분, 전해질을 제거하기 위해 시행합니다.
정확히는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에 투석을 하게 됩니다:
✅ 신장 투석을 하는 주된 이유
- 노폐물 제거
- 정상적인 신장은 요소, 크레아티닌, 요산 등 몸에서 생긴 노폐물을 소변으로 배출합니다.
- 신장 기능이 떨어지면 이 노폐물들이 혈액에 쌓여 독성을 유발합니다. 투석은 이 노폐물을 걸러냅니다.
- 수분 조절
- 신장은 과잉 수분을 소변으로 배출해 체내 수분량을 조절합니다.
- 기능이 저하되면 몸이 붓거나 폐에 물이 차는 등의 문제가 생기므로, 투석으로 수분을 인위적으로 제거합니다.
- 전해질 균형 유지
- 칼륨, 나트륨, 칼슘, 인 등의 전해질 균형을 맞추는 것도 신장의 역할입니다.
- 신부전이 있으면 전해질 불균형(예: 고칼륨혈증)이 생겨 부정맥이나 심정지 위험이 커질 수 있어, 투석으로 이를 조절합니다.
- 산-염기 균형 유지
- 신장이 혈액의 산도(pH)를 조절하지 못하면 몸이 산성화됩니다(대사성 산증). 투석은 이를 교정해줍니다.
🩺 투석이 필요한 상태는?
- 만성 신부전(CKD) 말기 (보통 사구체여과율 GFR이 10~15 이하)
- **급성 신부전(AKI)**에서 증상이 심한 경우
-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때:
- 심한 부종
- 고칼륨혈증
- 오심, 구토, 혼란, 경련 등 요독증 증상
- 호흡곤란 (폐에 물이 찼을 경우)
필요한 경우, 신장 이식도 고려될 수 있지만, 이식 전이나 대기 중에는 투석이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치료가 됩니다.
반응형